모바일 메뉴 닫기
 
제목
[09.09.01] 생명공학과 최강열 교수, 라스 단백질의 안정성 조절 메커니즘 규명, 'Journal of Cell Science' 표지 논문으로 게재
작성일
2020.01.07
작성자
생명공학과
게시글 내용


최강열 교수, 라스 단백질의 안정성 조절 메커니즘 규명
‘Journal of Cell Science’ 표지논문으로 게재
배아줄기세포의 혈관형성조절 논문 심혈관계 권위지 ‘Circulation Research’ 에 게재 


암 발생 관련 단백질 조절 가능해진다!



우리대학 생명공학과 최강열 교수의 라스안정성 조절 메커니즘에 대한 논문이 3월 4일자 ‘저널 오브 셀 사이언스(Journal of Cell )’ 122호의 표지논문으로 게재되어 그 내용이 ‘In this issue’란에 그 내용이 자세히 소개됐다.
이 연구는 최근 “저널 오브 바이올로지컬 케미스트리(JBC)”의 표지로 게재되고 “사이언스(Science)”지의 STEKE에서 주목할 논문으로 소개되었던 본 연구진의 연구를 발전시킨 결과다. 대부분의 암에서 그 이상이 발견될 정도로 암과 관련하여 중요성이 밝혀진 라스 단백질이 기존의 학계에서 통설로 여기고 있는, GTP-와 GDP-의 치환을 통한 조절 이외에 단백질 변형을 통해 기능을 수행하고, 그 조절이 암 발생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는 연구결과를 메커니즘 차원으로 규명한 내용을 담고 있다.



최 교수는 "이와 같은 라스 안정성 조절이 Wnt 신호에 의해 조절됨을 규명함으로써, 이 결과가 항암제 개발은 물론 Wnt 신호가 핵심적으로 관여하는 골다공증, 비만치료제 개발은 물론 치료용 줄기세포 생산에 있어서 암화 억제 등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최 교수팀은 최근 배아줄기세포가 혈관세포로 분화하는데 Wnt5a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내용의 논문을 2월 27일 심혈관 분야의 권위지인 '서큘레이션 리서치(Circulation Research)' 104호에 게재함으로 줄기세포의 암 발생 억제 기전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과학재단의 국가지정연구실 사업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우리대학 생화학과 윤종복, 권영근 교수, 의과대학 병리학 교실의 김호근, 박영년 교수가 공동연구자로 연구에 참여하였다.

첨부
2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