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
- 정종문 교수,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 선정
- 정종문 교수가 2025년부터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으로 선정되었다. 한국공학한림원은 과학 기술 발전에 현저한 공을 세운 공학기술인을 발굴하여 우대하고, 국가의 창조적인 공학 기술 개발과 지속적인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법인이며, 정회원 수는 287명이며 절반은 기업 대표들이다. 또한, 정종문 교수는 IEEE Fellow 이며 2023년부터 한국공학한림원 전기전자공학분과 총무간사 (Secretary General, Electrical & Electronic Engineering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of Korea (NAEK))를 맡아 왔다.
- 전기전자공학부 2025.01.20
-
23
- 김현재 교수, 한국공학한림원 일반 회원 선정
- 김현재 교수가 2024년 12월 26일, 2025년도 한국공학한림원 일반회원으로 선정되었다. 한국공학한림원은 기업, 대학, 연구소 등에서 탁월한 연구 성과와 혁신적인 기술개발로 국가 발전에 기여한 전문가들 중 추천을 받아 일반회원을 선정하며, 김현재 교수는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일반회원으로 이름을 올렸다.
- 전기전자공학부 2025.01.20
-
22
- 장문형 박사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NUS) 교수임용
-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를 졸업한 장문형 박사(지도교수: 채영철 교수)가 세계적인 명문대학 (QS World University Ranking 8위)인 싱가포르국립대 (NUS)의 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로 임용됐다. 장문형 박사는 연세대 전기전자공학과에서 학부 (14년) 를 졸업하고 박사 (21년) 학위를 받았다. 24년까지 스탠포드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하다가 같은해 8월 NUS의 조교수로 임용됐다. 장문형 박사는 혼성신호 IC 설계 분야의 전문가로, 데이터 컨버터와 차세대 BCI에 대한 연구로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연구자다.
- 전기전자공학부 2024.12.17
-
21
- 노원우 교수 IEEE/ACM Micro 명예의 전당 헌액
- 노원우 교수는 2024년 11월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서 개최되는 57회 ACM/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Microarchitecture에 참석하여 논문을 발표하였고, 이번 논문으로 명예의 전당 (Hall of Fame)에 헌액되었다. Micro Hall of Fame은 평생 8번째 논문을 본 학술행사에 발표하는 저자에게 주어지는 명예로운 상이다.
- 전기전자공학부 2024.11.19
-
20
- 김현재 교수, ‘SBS biz 경제현장’에서 반도체 겨울론에 따른 업계 전망과 장기 성장 가능성 분석
- 김현재 교수는 ASML의 실적 둔화와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제한이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심도 있게 분석했다. 또한, 고성능 메모리와 AI 반도체 수요에만 집중되는 업계의 양극화 현상을 강조하며 반도체 겨울론의 배경을 다뤘다. 이러한 배경이 단기적으로 반도체 공급망에 불안 요소가 될 수 있지만, AI와 고성능 컴퓨팅(HPC)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며 장기적으로는 성장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논의는 반도체 산업의 미래 전략 수립에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했다.
- 전기전자공학부 2024.11.19
-
19
- 연세대 유기준 교수 연구팀, 고감도 촉각 전자 피부 개발
- 유기준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고감도 촉각 전자 피부가 Ytn science에 보도되었다. 기사 원문 링크: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0082&key=202410171102029166 동영상 뉴스 링크: https://youtu.be/aqtE8y5ktRg?feature=shared
- 전기전자공학부 2024.10.22
-
18
- 연세대 안종현 교수팀, 개두술 대체할 주입형 뇌신경 센서 개발
- 안종현 교수 연구팀이 기존 뇌수술의 위험을 대폭 줄인 주사기 주입형 최소침습식 뇌신경 임플란트 센서 기술을 개발했다. 이 연구는 그 중요성과 혁신성을 인정받아 저명한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IF 27.4, 상위 2%)'의 커버 논문으로 선정됐다. 기사 원문: https://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515935#google_vignette
- 전기전자공학부 2024.10.22
-
17
- 연세대 채영철 교수팀, 웨이퍼 스케일 고해상도 SPAD X-ray 센서 개발
- 연세대 전기전자공학과 채영철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웨이퍼 스케일의 고속, 초저선량, 고해상도 SPAD(Single Photon Avalanche Diode) X-ray 센서를 개발했다. 이 기술은 가치를 인정받아 시스템 반도체 설계 분야 최우수 학술대회인 ‘IEEE VLSI 심포지엄’ 발표 논문으로 선정돼 6월 18일에 발표됐다. 기사 원문: https://edu.donga.com/?p=article&ps=view&at_no=20240618102451400155
- 전기전자공학부 2024.10.22
-
16
- 이명재 교수 부임 (Advanced Semiconductor Devices & Systems 연구실)
- 이명재 교수님이 2024년 9월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에 부교수로 부임하였다. 주 연구 분야는 차세대 반도체·포토닉스 소자·센서(e.g., single-photon avalanche diode (SPAD), silicon photomultiplier (SiPM)) 및 이를 활용한 IC·시스템(e.g., LiDAR, Bio, Quantum, Optical I/O 등)이다. SCI 저널 및 국제 학회에 120여 편이 넘는 논문을 게재 하였으며, 국내/해외에 30건 이상의 특허를 출원/등록하였고, 장관상을 포함 총 20회 이상의 수상을 하였다. 50회 이상의 초청발표를 하였고, 국내외 여러 업체들에 기술자문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학회 (International SPAD Sensor Workshop, Photonics Conference, Korean Conference on Semiconductors 등)의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전기전자공학부 2024.10.08
-
15
- 신용준 교수 연구팀 졸업생 김선혁 박사 국립공주대학교 전기전자제어공학부 조교수 임용
-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김선혁 박사가 (지도교수: 신용준 교수 / 에너지정보처리 연구실) 2024년 9월 국립공주대학교 전기전자제어공학부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김선혁 박사는 전기전자공학부 에너지정보처리 연구실에서 2022년 2월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2024년 8월까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면서, 상위 5명에게 수여되는 우수신입직원상을 수상한 이력이 있다.
- 전기전자공학부 2024.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