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닫기

 

▣ 종합시험 규정

1. 종합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외국어 시험에 먼저 통과해야 한다. 외국어 시험과 관련된 규정은 외국어 시험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석사과정생은 24학점 이상을 취득한 사람이어야 하고 현재 학기 등록을 한 상태여야 한다.(참고: 졸업을 위한 최저 이수학점은 30학점임.)

3. 박사과정생은 21학점 이상을 취득한 사람이어야 하고 현재 학기 등록을 한 상태여야 한다.(석사학위과정에서 이수한 학점 중 30학점을 이수학점에 포함시키는 항목을 삭제하고 박사과정에서만 이수하는 학점으로 변경. 2006년 9월 이후) (참고: 졸업을 위한 최저 이수학점은 30학점임.)

4. 외국인 학생의 경우는 <한국어로논문쓰기및발표하기> 과목에서, 내국인 학생의 경우는 <외국어로논문쓰기및발표하기> 과목에서 ‘합격’ 판정을 받은 자만이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단, 외국어로 논문을 쓰는 외국인의 경우 지도교수의 허락 하에 <외국어로 논문쓰기 및 발표하기>로 대체할 수 있다. 석사 과정에서 위 과목을 수강한 학생은 박사 과정에서 동일 과목을 재수강할 필요가 없다. 다만 본 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지 않고 박사 과정에 진학한 학생은 외국인 학생의 경우는 <한국어로 논문 쓰기 및 발표하기> 과목을, 내국인 학생의 경우는 <외국어로 논문 쓰기 및 발표하기>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5. 종합시험은 매년 6월, 12월 마지막 주 토요일에 실시하고 학기 중에 시험 조교가 종합시험 응시와 관련해 재학생들에게 안내 메일을 보낸다. 종합시험 응시는 시험 조교가 안내한 기간 안에 종합시험 및 학위논문 게시판에서 응시생이 구글폼을 제출해 직접 응시한다.

 

6. 석사 과정 및 박사 과정의 보충 과목 수강은 각 분과별 보충 과목 세부 내용을 확인하여 수강하되, 수강 신청 기간 동안 학생이 직접 연세포탈, 런어스에서 신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국어학: 수강신청 시, '보충'으로 신청하여 학부 보충 과목 2과목을 수강한다.

   고전문학: 수강신청 시, '보충' 또는 '청강' 중 하나로 신청하여 학부 보충 과목 3과목을 수강한다.

   현대문학: 수강신청 시, '청강'으로 신청하여 학부 보충 과목 2과목을 수강한다.

 

 

각 전공에 따른 석사 과정의 응시과목은 다음과 같다.

 

· 국어학

[국어학 과정]

통사론, 형태론 (필수) + 국어사, 국어학사, 의미론, 어휘론, 음운론, 사회언어학, 화용론, 국어정보학 중 택 1 = 총 세 과목 응시

 

[한국어교육학과정]

한국어교육론, 한국어문법론 필수 + 한국어문법교육론, 한국어어휘교육론, 한국어담화교육론, 한국어이해교육론, 한국어표현교육론, 한국어교재론, 대조언어학, 언어습득론 중 택 1 = 총 세 과목 응시

 

㉮ 학부 보충 과목: 학석사 과정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지 않은 외국인 학생의 경우 졸업 전까지 학부 수업 중 국어학 관련 과목을 2과목 이상 수강하여야 한다. 수강 필수 과목은 없으나, 국어학 과목에 한정하여 수강이 가능하다.

(국어학 관련 학부 과목 예: '우리말 한국어 교육론' '**'이 들어가는 국어학 한국어교육 영역의 과목)

('한국어문학의 이해', '문학이란 무엇인가' 등의 문학 과목은 인정되지 않는다)

(수강신청 시, '보충'으로 학부 보충 과목 2과목을 신청하여 수강한다.)

 

㉯ 보충 과목 수강 대상

  1) 보충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학생: 국내외에서 국어학과 관련 없는 학부를 졸업한 외국인 또는 국외에서 국어학 관련 학부를 졸업한 외국인

  2) 보충 과목을 수강하지 않아도 되는 학생: 국내에서 국어학 관련 학부를 졸업한 외국인(국어학, 국어국문학과, 국어교육과, 한국어학과, 한국어교육과 등)

※ 국어학을 전공하였지만 2년은 국외 2년은 국내에서 공부한 경우 혹은 부전공으로 국내에서 국어학 관련 학부를 졸업한 경우에는 학부 때 성적 이수 과목 증명서를 제출한 후 지도 교수와 상담하여 결정할 것. 단, 지도 교수가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 국어학 책임 교수와 상담하여 결정할 수 있음. 이 경우는 외국인 상담 조교(이메일: korfor@yonsei.ac.kr)에게로 문의할 것.

※ 석사 전공이 국어학(한국어교육학)이 아닌 박사 신입생의 경우 지도교수와 상담하여 결정할 것.

 

 

· 현대문학
㉮ 시론, 소설론, 비평론, 글쓰기 이론, 문화론 중 택2 = 총 두 과목 응시

※ 분야별 필독서는 매학기 시작 전에 담당교수가 2, 3권을 발표한다.

㉯ 국어국문학과 대학원 현대 문학 전공(석사 과정)에 입학한 외국인 학생은 종합 시험을 응시하기 전에 학부 과정에 개설한 과목 가운데 현대 문학과 관련된 두 과목 이상을 청강해야 한다.

 

 

· 고전문학
㉮ 고전시가론, 고전소설론, 고전문학사, 한문학, 구비문학 중 택 2= 총 두 과목 응시 
㉯ 각 과목별 필독서 3권, 필독 논문 관련 주제 키워드 5개 혹은 관련 논문 제시
※ 종합시험에 응시하고자 하는 외국인/타전공 학부 출신은 3과목 이상의 보충과목을 이수 완료한 것이 확인되어야 한다(한국 고전문학의 이해 과목은 3 과목 가운데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창의융복합전공
㉮ 융복합 전공 학생은 자격시험으로 다음의 2개 과목을 응시한다: 국어, 현대문학, 고전문학 전공 자격시험 중 한 과목과 융복합 전공(번역, 콘텐츠와 교육, 전시 및 기획)을 다룬 <융복합 전공의 이론과 실제> 과목.
- 융복합 전공과목의 자격시험의 출제는 지도교수나 외부의 전문가에게 의뢰한다.

 

 

각 전공에 따른 박사 과정의 응시과목은 다음과 같다.


㉮ 박사 종합시험의 과목은 <일반과목>, <확장과목>, <전공과목> 3가지로 정한다. 박사 종합시험을 위하여 사업단 교수들이 정한 필독서(<일반과목>, <확장과목>), 각 학생의 전공분야와 관련하여 학생과 지도교수가 작성한 필독서(<전공과목>)의 목록을 각 과목당 20권 이상 30권 이내로 작성한다.
<일반과목> - 해당 전공분야의 기본적인 이론과 역사, 방법론.
<확장과목> - 해당 전공분야의 유관 전공분야로서, 상이한 시대 혹은 상이한 연구분야 및 방법론.- 학과 자체 외국어/한국어 시험은 매년 5월말, 11월말에 시행한다.
<전공과목> - 각 학생의 세부 논문주제와 관련한 분야.
㉯ 박사종합시험은 위의 필독서 목록을 토대로 하여 필기시험과 구술시험으로 이루어진다.
㉰ <일반과목>은 필기시험을 실시하고, <확장과목>은 필기시험을 실시하거나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며, <전공과목>은 구술시험을 실시하거나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한다.
각 전공별 박사 종합시험의 실시 세부원칙은 다음과 같다.


· 국어학
[국어학 과정]

㉮ <일반과목>(통사론, 형태론 필수): 각 세부과목별 10권 내외의 필독서를 토대로 출제되는 필기시험 응시

㉯ <확장과목>(국어사, 국어학사, 의미론, 어휘론, 음운론, 사회언어학, 화용론, 국어정보학 중 택 3)-각 세부과목별로 10권 내외의 필독서를 토대로 출제되는 필기시험 응시 *필기시험은 <일반과목>과 <확장과목>을 포함하여 총 다섯 과목 응시

㉰ <전공과목>(지도교수와의 협의 하에 본인의 박사논문과 관련된 30권 내외의 필독서 목록을 작성하여 구술시험을 실시하거나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한다.)

㉱ 학부 보충 과목: 학석사 과정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지 않은 외국인 학생의 경우 졸업 전까지 학부 수업 중 국어학 관련 과목을 2과목 이상 수강하여야 한다. 수강 필수 과목은 없으나, 국어학 과목에 한정하여 수강이 가능하다.

  (국어학 관련 학부 과목 예: '우리말 한국어 교육론' '**'이 들어가는 국어학 및 한국어교육 영역의 과목)

  ('한국어문학의 이해', '문학이란 무엇인가' 등의 문학 과목은 인정되지 않는다)

  (수강신청 시, '보충'으로 학부 보충 과목 2과목을 신청하여 수강한다.)

  보충 과목 수강 대상 

  1) 보충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학생: 국내외에서 국어학과 관련 없는 학부를 졸업한 외국인 또는 국외에서 국어학 관련 학부를 졸업한 외국인

  2) 보충 과목을 수강하지 않아도 되는 학생: 국내에서 국어학 관련 학부를 졸업한 외국인(국어학, 국어국문학과, 국어교육과, 한국어학과, 한국어교육과 등)

  ※ 석사 전공이 국어학이 아닌 박사 신입생의 경우 지도교수와 상담하여 결정할 것.

 

[한국어교육 과정]
㉮ <일반과목>(한국어 문법론, 한국어교육론): 각 세부과목별 10권 내외의 필독서를 토대로 출제되는 필기시험 응시
㉯ <확장과목>(한국어어휘교육론, 한국어문법교육론, 한국어담화교육론, 한국어이해교육론, 한국어표현교육론, 한국어교재론, 대조언어학, 언어습득론 중 3과목 선택)-각 세부과목별로 10권 내외의 필독서를 토대로 출제되는 필기시험 응시 * 필기시험은 <일반과목>과 <확장과목>을 포함하여 총 다섯 과목 응시
㉰ <전공과목>(지도교수와의 협의 하에 본인의 박사논문과 관련된 30권 내외의 필독서 목록을 작성하여 구술시험을 실시하거나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한다.)
㉮ 종합시험의 원서는 시험 실시 한 달 전에 지도교수의 승인을 받은 원서를 제출한다.
㉯ 구술시험을 응시할 경우

(1) 석사, 박사 과정의 성적 증명서 1통
(2) 종합시험 응시 과목 및 점수
(3) 박사논문 주제에 관한 연구계획서
(4) 박사논문 주제와 관련한 필독서 목록 30권
(5) 박사 과정 중 발표한 소논문 목록의 다섯 가지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2011년 1학기 종합시험 응시자부터 적용)

㉰ 종합시험의 결과는 필기시험과 구술시험의 결과를 종합하여 (1) 통과 (2) 과제 혹은 재시(학기 내) (3) 재시(다음 학기)의 세 가지로 결정한다.
㉱ 종합시험은 과목별 부분 응시를 가능하게 한다.
㉲ 종합시험의 결과는 과목별로 통과 여부를 판정하되, 다음 학기에 불합격한 과목만 응시하도록 한다.
㉳ <전공과목>의 응시 자격은 종합시험의 <일반과목>과 <확장과목>을 모두 통과한 자에 한한다.

㉴ 학부 보충 과목: 학석사 과정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지 않은 외국인 학생의 경우 졸업 전까지 학부 수업 중 국어학 관련 과목을 2과목 이상 수강하여야 한다. 수강 필수 과목은 없으나, 국어학 과목에 한정하여 수강이 가능하다.

  (한국어교육학 관련 학부 과목 예: '우리말 한국어 교육론' '**'이 들어가는 국어학 및 한국어교육 영역의 과목)

  ('한국어문학의 이해', '문학이란 무엇인가' 등의 문학 과목은 인정되지 않는다)

  (수강신청 시, '보충'으로 학부 보충 과목 2과목을 신청하여 수강한다.)

  

  보충 과목 수강 대상 

  1) 보충 과목을 수강해야 하는 학생: 국내외에서 국어학과 관련 없는 학부를 졸업한 외국인 또는 국외에서 국어학 관련 학부를 졸업한 외국인

  2) 보충 과목을 수강하지 않아도 되는 학생: 국내에서 국어학 관련 학부를 졸업한 외국인(국어학, 국어국문학과, 국어교육과, 한국어학과, 한국어교육과 등)

  ※ 석사 전공이 국어학 및 한국어교육학이 아닌 박사 신입생의 경우 지도교수와 상담하여 결정할 것.

 


· 현대문학
㉮ <일반과목>은 한국문학사, 문학이론, 문화론, 시론, 글쓰기이론, 비평론, 글쓰기연구사로 구성된다.

※ 분야별 필독서는 매학기 시작 전에 담당교수가 5, 6권을 발표한다.
㉯ 현대문학 전공자 및 글쓰기 전공자는 위의 영역 중 3 영역을 선택하여 필기시험을 치른다.
㉰ 현대문학 전공자 필독서와 글쓰기 전공자 필독서는 교수단에서 정한다.
㉱ <확장과목> 시험은 논문 주제와 관련해 학생이 선택한 20-30권의 저서 목록을 지도교수가 포함된 2인의 교수가 검토, 보완한 후 이를 출제 텍스트로 결정한다. 시험은 보고서로 치른다.
㉲ <전공과목> 시험은 구술로 실시하되 지도교수가 포함된 2인의 교수가 담당한다.

㉮ <일반과목> 응시자는 시험 한 달 전에 지도교수의 승인을 받은 응시원서를 제출한다.
㉯ <일반과목>의 3영역은 과목 별 응시와 통과를 인정한다.
㉰ <확장과목> 시험은 <일반과목>을 모두 통과한 학생에 한해 응시 자격이 부여된다.
㉱ <확장과목> 응시자는 시험 한 달 전에 지도교수의 승인을 받은 응시원서를 제출한다.
㉲ <전공과목> 시험은 <확장과목> 시험을 통과한 직후에 실시한다.
㉳ 위의 규정은 한국인 학생과 외국인 학생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된다.

 


·고전문학
- 과목별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일반과목> 5개, <확장과목> 5개 가운데 4개를 선택하되 <일반과목> 2개, <확장과목> 2개를 선택하고 <일반과목>과 <확장과목>은 중복되지 않는 것으로 선택한다.
㉯ <일반과목>, <확장과목> 5개 과목은 다음과 같다: 고전시가론, 고전소설론, 고전문학사, 한문학, 구비문학.
㉰ <일반과목>은 필독 텍스트 5개 지정. <확장과목>은 각 과목별 필독서 4-5개, 주제 키워드 10개 혹은 관련 논문을 제시한다.
- 종합시험의 출제는 고전문학 분과 출제위원회를 열어, 분야별 출제교수를 결정한다. 분야는 고전문학사, 한문학, 고전소설, 고전시가, 구비문학의 5 분야로 나누며, <일반과목> 두 분야에 두 문제, <확장과목> 두 분야에 두 문제 씩, 총 4문제를 출제한다. <일반과목>과 <확장과목> 4문제 중에는 중첩되는 분야가 없이, 각 분야에서 고루 출제되어야 한다.
㉱ 종합시험을 치르기 위해서는, 시험 실시 한 달 전에 지도교수의 승인을 받아 원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 <전공과목> 참고문헌 목록은 종합시험 원서 제출 시 함께 제출하여야 하고, 30종의 논저 목록이 구비되어야 한다.
㉳ <전공과목>의 응시 자격은 종합시험의 <일반과목>과 <확장과목>을 모두 통과한 자에 한한다.
- 석사과정 또는 박사과정의 분과별 필독서 목록 및 주제 키워드는 과사무실로 문의 요망

 

 

 

 

 

▣ 현대문학 박사논문 자격시험 ‘일반과목’ 필독서 목록(2017년 9월 27일부터 시행)

한국문학론 영역
임화, 임화문학예술전집2, 소명출판, 2011
김현, 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김윤식,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 일지사, 1976.
한계전 외, 한국현대시론사연구, 문학과지성사, 1998.
김철, 문학 속의 파시즘, 삼인, 2008.
신형기, 북한문학사, 평민사, 2000.
김영민, 문학제도 및 민족어의 형성과 한국 근대문학 소명, 2012.
유종호, <시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5.
김현, 김현문학전집 6: 젊은 시인들의 상상세계 / 말들의 풍경, 문학과 지성사, 1992.
문학론 영역
프랑코 모레티, 근대의 서사시, 새물결, 2001
테리 이글턴, 문학이론입문, 창작과비평사, 1986.
게오르그 루카치 외, 문제는 리얼리즘이다, 실천문학사, 1985.스즈키 사다미, 일본의 문학개념, 보고사, 2001
프레드릭 제임슨, <정치적 무의식>, 민음사, 2015

문화론 영역
막스 호르크하이머, 테오도르 아도르노, 계몽의 변증법, 문예출판사, 1995.
아르준 아파두라이, 고삐 풀린 현대성, 차원현 외 역, 현실문화연구, 2004(원문 참조)
에릭 홉스봄(편), 만들어진 전통, 휴머니스트, 2004.
미셸 푸코, 말과 사물, 민음사, 2012.
리타 펠스키, 근대성과 페미니즘, 거름, 1998.
레이 초우, 원시적 열정, 정재서 역, 이산, 2004.
레프 마노비치, 뉴미디어의 언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노엘 버치, 영화의 실천, 이윤영 옮김, 서울: 아카넷, 2013
이윤영 편, 사유 속의 영화, 문학과 지성, 2011.
스튜어트 홀, 문화, 이데올로기, 정체성, 컬처룩, 2015.
발터 벤야민, 최성만 역, 발터벤야민 선집2: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외, 길, 2007

글쓰기 이론 영역
이재승, <글쓰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 교육과학사, 2001
스피비, <구성주의와 읽기 쓰기>, 박이정, 2004
박태호, <장르 중심 작문 교수학습론>, 박이정, 2000.
Charles A. MacArthur et al., 박영민 외 옮김, 작문교육 연구의 주제와 방법, 박이정, 2015.
Anis Bawarshi et al., 정희모 외 옮김, 장르 : 역사·이론·연구·교육, 경진출판, 2016.
Mary Lynch Kennedy, Theorizing Composition, A Critical Sourcebook of Theory and Scholarship in Contemporary Composition Studies, 1998.

글쓰기 연구사 영역
글쓰기 이론 한국어 논문 모음집Susan Miller, The Norton Book of Composition Studies, W. W. Norton & Company, Inc.
Charles Bazerman, Handbook of Research on Writing, Lawrence Erlbaum Associate, 2008.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학
조남현, 소설 1 (한국문학선집 1900-2000), 문학과 지성사, 2007.
우찬제, 소설 2 (한국문학선집 1900-2000), 문학과 지성사, 2007.
최동호, 시 (한국문학선집 1900-2000), 문학과 지성사,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