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양 금굴 유적
-
- 출판사연세대학교박물관
- 출판연도2022
- 페이지
520쪽
- 크기
300×209mm
목차보기
Ⅰ. 머리말
1. 조사 경위와 목적
2. 조사단 구성
3. 매장문화재 미정리유물 보존 및 활용 사업
Ⅱ. 조사지역의 위치와 환경
1. 조사지역의 위치
2. 자연 · 지리 환경
3. 고고 · 역사 환경
Ⅲ. 조사 범위와 방법
1. 1차 발굴(1983년)
2. 2차 발굴(1984년)
3. 3차 발굴(1985년)
Ⅳ. 조사내용
1. 층위와 문화층
2. 출토유물
Ⅴ. 고찰
1. 구석기 시대
2. 신석기 및 청동기 시대
Ⅵ. 맺음말
부록
-
-
정선 매둔 동굴유적(2)
-
- 출판사연세대학교박물관
- 출판연도2021
- 페이지
239쪽
- 크기
300×209mm
목차보기
Ⅰ. 머리말
1. 조사 경위와 목적
2. 조사단 구성
1) 4차 발굴(2018) 조사단
2) 5차 발굴(2019) 조사단
Ⅱ. 유적 위치와 주변 환경
1. 유적 위치
2. 자연 · 지리 환경
3. 고고 · 역사 환경
Ⅲ. 조사 범위와 방법
1. 4차 발굴(2018)
2. 5차 발굴(2019)
Ⅳ. 조사 내용 : 층위
1. 2구획(4차 발굴)
1) 1층
2) 2층
3) 3층
(1) 구석기 1층(P-1, 3a)
(2) 구석기 2층(P-2, 3b)
(3) 구석기 3층(P-3, 3c)
(4) 구석기 4층(P-4, 3d)
(5) 구석기 5층(P-5, 3e)
2. 3구획(5차 발굴)
Ⅴ. 조사 내용 : 인공 유물과 유구
1. 2구획(4차 발굴)
1) 구석기시대
(1) 구석기 2층(P-2)
가. 석기
나. 그물추
다. 뼈연모
(2) 구석기 1층(P-1)
가. 석기
나. 그물추
2) 통일신라 후기~나말여초
(1) 통일신라 후기
가. 철기
나. 도기
(2) 나말여초
가. 네모 유구
나. 기와
2. 3구획(5차 발굴)
1) 구석기시대
(1) 석기
(2) 그물추
(3) 뼈연모
Ⅵ. 고찰
1. 유적의 형성
2. 구석기시대
1) 석기
2) 그물추
3) 뼈연모
3. 통일신라 후기~나말여초
1) 통일신라 후기
2) 나말여초
Ⅶ.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출토유물 목록
-
-
정선 매둔 동굴유적(1)
-
- 출판사연세대학교박물관
- 출판연도2019
- 페이지
243쪽
- 크기
300×209mm
목차보기
Ⅰ. 머리말
Ⅱ. 유적 위치와 주변 환경
1. 유적 위치
2. 자연 · 지리 환경
3. 고고 · 역사 환경
Ⅲ. 조사 범위와 방법
1. 1차 발굴
2. 2차 발굴
3. 3차 발굴
Ⅳ. 조사 내용 : 층위
1. 1층(표토층)
2. 2층(근현대층)
3. 3층(구 표토층)
4. 4층(청동기시대)
5. 5층(신석기시대)
6. 6층(신석기시대)
7. 7층(구석기시대)
8. 8층(구석기시대)
Ⅴ. 조사 내용 : 인공 유물, 유구
1. 7층(구석기시대 문화층)
2. 6층(신석기시대 문화층)
3. 5층(신석기시대 문화층)
4. 4층(청동기시대 문화층)
5. 기타
Ⅵ. 고찰
1. 구석기시대 문화층
2. 신석기시대 문화층
3. 청동기시대 문화층
Ⅶ.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출토유물 목록
-
-
영월 구래리 연이굴유적
-
- 출판사연세대학교 박물관
- 출판연도2017
- 페이지
47쪽
- 크기
300×209mm
목차보기
Ⅰ. 머리말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1. 유적의 위치 및 자연환경
2. 주변지역의 선사유적
Ⅲ. 조사방법과 층위
1. 조사방법
2. 층위
3. 토양 입도분석
Ⅳ. 발굴 유물의 관찰 및 분석
1. 석기
2. 동물 뼈 유물
Ⅴ. 종합고찰
1. 층위와 절대연대
2. 출토유물
Ⅵ. 맺음말
부록
-
-
평창 기화리 쌍굴유적
-
- 출판사연세대학교 박물관
- 출판연도2014
- 페이지
123쪽
- 크기
300×209mm
목차보기
Ⅰ. 머리말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1. 유적의 위치 및 자연환경
2. 주변지역의 선사유적
Ⅲ. 조사방법과 층위
1. 조사방법
2. 층위
3. 토양 입도분석
Ⅳ. 발굴 유물의 관찰 및 분석
1. 유물분포와 석기
1) Ⅴ지층(암갈색 토양층)
(1) 유물분포
(2) 석기 및 굴 바깥돌
2) Ⅳ지층(적황색 토양 포함 낙반석층)
(1) 유물분포
3) Ⅲ지층(황적색 토양 포함 낙반석층)
(1) 유물분포
(2) 석기
2. 동물 뼈 유물
1) 불에 탄 뼈
2) 자른자국을 지닌 뼈
3) 깨진 뼈
(1) Ⅴ층 출토 깨진 뼈
(2) Ⅳ층 출토 깨진 뼈
(3) Ⅲ지층 출토 깨진 뼈
(4) Ⅱ지층 출토 깨진 뼈
4) 동물 뼈화석
(1) Ⅴ층 출토 동물 뼈화석
(2) Ⅳ층 출토 동물 뼈화석
(3) Ⅲ지층 출토 동물 뼈화석
(4) Ⅱ지층 출토 동물 뼈화석
Ⅴ. 종합고찰
1. 층위와 절대연대
2. 출토유물
1) 석기 및 굴 바깥돌
2) 동물 뼈 유물
(1) 불에 탄 뼈
(2) 자른자국을 지닌 뼈
(3) 깨진 뼈
(4) 동물화석
Ⅵ. 맺음말
부록
-
-
영월 연당 피난굴(쌍굴) 유적
-
- 출판사연세대학교박물관
- 출판연도2009
- 페이지
270쪽
- 크기
300×209mm
목차보기
Ⅰ. 머리말
1. 조사 의의 및 목적
2. 조사 경위
Ⅱ. 유적 위치, 자연환경 및 주변 지역의 선사유적
1. 유적의 위치
2. 지형과 지질
3. 주변 지역의 선사유적
Ⅲ. 유적의 성격과 발굴 및 층위
1. 유적의 성격
2. 유적의 발굴
3. 유적의 층위
Ⅳ. 발굴 유물의 관찰 및 분석
1. 1굴 출토 유물의 관찰 및 분석
2. 2굴 출토 유물의 관찰 및 분석
Ⅴ. 종합 검토
1. 구석기시대
2. 신석기시대
3. 청동기시대
4. 고려시대
Ⅵ. 맺음말
-
-
맹씨행단 건축유적지 발굴조사보고서
-
- 출판사아산시
- 출판연도1998
- 페이지
305쪽
- 크기
300×215mm
목차보기
I. 서론
1. 발굴조사 개요 및 경위
2. 발굴 및 보고서 발간 관계자
II. 발굴조사 진행과정
1. 발굴과정과 방법
2. 발굴경과
III. 맹씨행단의 역사적 고찰
1. 맹씨행단의 역사지리적 배경
2. 맹사성의 생애와 행적
IV. 맹씨행단에 대한 건축적 고찰
1. 현황
2. 연혁
3. 고택에 대한 건축사적 고찰
4. 원형과 변형
V. 출토유구와 해석
1. 지역별 유구의 해석
2. 종합적인 유구의 해석
VI. 출토유물
1. 기와
2. 생활용구
3. 도자편
4. 출토유물에 대한 고찰
VII. 종합 및 복원적 고찰
1. 좌향변경 이전의 단계
2. 좌향변경 후의 변화
3. 출토유물과 유구의 관계
-
-
보령댐 수몰지구 발굴조사 보고③ 도요지 발굴조사보고(평라리 요지)
-
- 출판사한국수자원공사, 연세대학교박물관
- 출판연도1996
- 페이지
143쪽
- 크기
260×190mm
목차보기
보령 평라리 분청사기 가마터 발굴조사 보고
Ⅰ. 머리말
Ⅱ. 유적의 위치와 역사적 배경
Ⅲ. 발굴경과
Ⅳ. 출토유물
Ⅴ. 맺음말
Ⅵ. English Summary
Ⅶ. 덧붙임
-
-
석장리 선사유적
-
- 저자손보기
- 출판사동아출판사
- 출판연도1993
- 페이지
326쪽
- 크기
265×200mm
목차보기
Ⅰ. 머리글
Ⅱ. 유적자리
1. 지형 및 지질
2. 기후
3. 식생
Ⅲ. 이어진 발굴조사
Ⅳ. 쌓임층과 문화층
1. 층위 나누기
2. 지질환경 연구
3. 문화층의 성격
-
-
상시 1그늘 옛 살림터
-
- 저자손보기
- 출판사연세대학교 선사연구실
- 출판연도1984
- 페이지
94쪽
- 크기
260×190mm
목차보기
Ⅰ. 뼈부분 부호
Ⅱ. 구석기 부호
Ⅲ. 차례, 표, 그림, 사진
Ⅳ. 머리말
1. 상시 1 바위그늘 발굴
2. 자연환경
3. 사람뼈
4. 문화유물
5. 살림살이
Ⅴ. 맺은말
Ⅵ. 참고문헌
Ⅶ. English Summary
-
-
두루봉 9굴 살림터
-
- 저자손보기
- 출판사연세대학교박물관 선사연구실
- 출판연도1983
- 페이지
108쪽
- 크기
260×190mm
목차보기
Ⅰ. 표•그림•사진•차례
Ⅱ. 머리말
1. 두루봉 9굴 발굴
2. 층위구분과 퇴적분석
3. 유물에 대한 분석
4. 두루봉 9굴의 식량•칼로리•사람 수•살았던 날 수
Ⅲ. 맺음말
Ⅳ. 참고문헌
Ⅴ. English Summary
-
-
상노대도의 선사시대 살림
-
- 저자손보기
- 출판사수서원
- 출판연도1982
- 페이지
142쪽
- 크기
260×190mm
목차보기
Ⅰ. 구석기 연모의 부호와 이름
Ⅱ. 사람•짐승뼈 부분의 부호와 이름
Ⅲ. 머리말
1. 상노대도 조갯더미 발굴
2. 층위 구성
3. 문화유물 I
4. 문화유물 II
5. 문화유물 III
6. 문화유물 IV
Ⅳ. 맺음말
Ⅴ. 참고문헌
Ⅵ. English Summary
-
-
The Upper Palaeolithic Habitation Sokchang-ni, Korea(A Summary Report)
-
- 저자손보기
- 출판사연세대학교박물관
- 출판연도1973
- 페이지
23쪽
- 크기
255×185mm
목차보기
1. Introduction
2. Environmental Conditions
A. Geography
B. Geological Levels
C. Pollen
3. Plan of the Habitation
4. Art Objects
5. Material, Typology, Technology
A. Rock Material
B. Typology
C. Technology
D. Tool Samples
6. Distribution of Tools and Other Objects
7. Consideration on Reconstruction